청년들은 요즘 취업시장도 어려운데 취업을 하더라도 돈을 모으기가 쉽지않습니다. 이에 정부에서 청년형 상품들을 많이 만들었는데요. 도대체 어떤 상품을 가입하는것이 좋은지 비교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.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최대 3천만원, 납입금액의 40% 소득공제의 장점이 있는 상품입니다. 그러나 장점에 비해 단점도 있는 상품이니 다른 상품들과 한번 비교하며 알아보겠습니다.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은행 가입 바로가기
국민은행 | 신한은행 | 하나은행 | 우리은행 |
기업은행 | SC제일은행 | NH농협은행 | 씨티은행 |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
항목 | 내용 |
지원대상 | 연령 : 만 19~34세 청년대상 개인소득 : 총 급여 5천만원 이하 (종합소득금액 3천8백만원 이하) |
지원내용 | 계약기간내 펀드 납입액의 40% 소득공제(3~5년) 연 납입한도 600만원 연 최대 240만원 소득공제 |
만기수령액 | 납입액 + 펀드운용수익 (최소 1,800만원, 최대 3,000만원) |
가입기간 | 최소 3년 ~ 5년 |
가입신청기간 |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입 |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조건
👉 만 19세 ~ 만 34세가 원칙이나 군경력(최대6년)을 제외하기 때문에 최대 만 40세까지 가입가능
👉 총 급여액 5,000만원 이하, 종합소득금액 3,800만원 이하
👉 직전 3개 연도안에 1번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신고했다면 가입 불가능
👉 최소 3년, 최대 5년 만기 상품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방법
1. 소득금액증명서 발급
국세청 홈택스 ( 앱은 손택스 ) 에서 소득확인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.
(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가입 및 과세특례 신청용)
2. 발급번호 확인 후 앱이나 인터넷으로 등록
My펀드 - 청년펀드등록 - 소득확인증명서 발급번호 입력 - 신청
3. 신청 결과 SMS 통보 받기
4."적정" 안내를 받으면 앱으로 가입하기
5. 가입완료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단점
1. 중도해지 손실 발생 - 6.6% 세금부과
중도해지 할 경우 소득공제 받은 만큼 세금을 다시 부과해서 돈이 빠져 나갑니다.
2. 원금보장 없음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은행 및 증권사에서 운용을 하는 펀드이기 때문에 원금보장이 없습니다. 소득공제 혜택이 크다고는 하나 원금이 손실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증권사 가입 바로가기
미래에셋증권 | 삼성증권 | KB증권 | 키움증권 |
신한금융투자 | 대신증권 | 한국투자증권 | NH투자증권 |
한화투자증권 | 유안타증권 | SK증권 | 하나금융투자 |
'직장인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전세계약 주의사항 (0) | 2023.04.05 |
---|---|
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총정리 (0) | 2023.03.18 |
대중교통 마스크 해제 총정리 (0) | 2023.03.15 |
안심전세 앱 총정리 (0) | 2023.02.15 |
청년주거급여 신청자격 (0) | 2023.02.12 |